지구와사람

검색
지구법강좌
지구법강좌는 지구법학(Earth Jurisprudence)을 기반으로 인간중심적 산업 문명의 폐해를 극복할 대안을 연구하며 거버넌스 체계 변화를 이끌어갈 법률가와 연구자를 양성합니다. 2015년부터 사단법인 선과 공동 주최로 연 4회 개최하는 대한변호사협회 지정 변호사 인정 연수 프로그램으로, 변호사와 로스쿨생, 그리고 학문 후속 세대의 참여를 기대합니다. 2024년부터는 “시민을 위한 지구법강좌”를 신설하여 지구법의 대중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2023 지구법강좌 제3강 "한국의 지구법 판결"
  • 2023-08-22
  • 974
〈2023년 지구법강좌 : 지구법 판례연구〉 3강이 2023. 6. 28. 19:00 Zoom을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총 149분께서 Zoom을 통해 지구법강좌 3강에 함께해주셨습니다.

2023 지구법강좌 3강은 "한국의 지구법 판결"이라는 주제로,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인 박태현 교수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2023 지구법강좌 3강 : 한국의 지구법 판결〉

I. 자연물 소송 
1. 
자연물이 소송당사자가 된 사례 : 서식지 방위 사례
  • 도롱뇽 소송 : 민사소송
  • 황금박쥐 소송 : 행정소송
  • 검은머리물떼새 소송 : 행정소송
  • 산양 소송 : 행정소송
 

2. 개별 동물보호 사례 : 동물보호법 위반 사례
  • 멸종위기종 수입 불허가 사례
  • 돌고래 몰수형 선고 사례
  • 학대 사례 : 타인의 반려견인 진도견 폭행 사례
  • 잔인한 방법으로의 개 도축 사례
 
3. 서식지 보호 사례 : 환경영향평가법 위반 사례
  • 맹꽁이 서식지 보호와 환경영향평가 사례
 

II. 지구법() 자연의 권리
  • 미국에서 이뤄진 하마의 법적 권리 판단 사례 및 캐나다의 팩피강 법인격 부여 사례
  • 지구법학의 기본철학, 지구 권리장전, 유네스코 세계 동물권리 선언(1978)의 세부내용
  • 자연에 대한 ‘권리’ 인정 의의 고찰 등
  • 현대 환경법의 한계
  • 자연의 권리 법 채택의 의미
 
III. 야생의  (WILD LAW)
  • 지구법학의 비전을 실현하는 법으로서의 야생의 법
  • 야생의 법 예시 : 양서파충류 서식지 보호와 도시생태현황도(비오톱) 무효확인 청구
  • 멸종위기종 수입 불허가 처분 사례 : in dubio pro natura 원칙
  • 생태법인 제도
  • 2022년 스페인 ‘석호 및 그 유역의 법인격에 관한 법률’의 전문 검토
 
IV. 질의응답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