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사람

검색
스토리
  • 2023
    • 04 지구법학회, 라다 드수자 교수 초청 대담
      법무법인(유)원, 사단법인 선, 기후변화청년모임 Big Wave, MYSC와 공동으로 기후위기 대응 전문가 초청 심포지엄 주최
      생태대연구회 열린 세미나, 서울대 신국조 명예교수 특강 "프리고진, 복잡계의 이해 -<혼돈으로부터의 질서>를 중심으로"
      Korea Hiking Heroes와 함께 2023 지구의 날 기념 행사
      한국토마스베리협회와 공동으로 데니스 오하라 초청 대담 "Pax Gaia: 토마스 베리의 평화의 우주론"
    • 03 청소년 환경활동 그룹 Korea Hiking Heores와 함께 업싸이클링 플랜트 홀더 제작
    • 01 지구법학회, 제주특별자치도 주관 '해양생태계 보호방안 마련 전문가 자문회의' 참석생태법인 간담회
      지구법학회, 강원대학교 환경법센터와 공동으로 Mumta Ito 변호사 특강 기획 및 진행
  • 2022
    • 12 지구와사람을 위한 이현 그림전 <색채유희> 기획 및 진행
    • 11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와 공동기획, 학술-예술 연계행사, <인류세를 비추는 극지경관> 개최
      지구아이 창작극 <어느 연구원의 생생한 극지체험 : Another Space> 공연
    • 10 파견예술인지원사업, 전시 <반려지구 - Companion Earth> 진행
      지구와사람 2022 생태대포럼 <전 지구적 위기시대의 통합생태적 전망과 ESG> 개최
      지구아이 창작 퍼포먼스 <이동-MOVE> 공연
    • 09 연극 <A·I·R 새가 먹던 사과를 먹는 사람> 작·연출 장우재 & <비인간과 함께 할 미래> 토크 김준수
      2022 한-중남미 지속가능발전 국제협력 민관학연 포럼 '지구법학' 세션 기획 및 진행
      경기 DMZ 포럼 'DMZ의 생명공동체적 접근과 지구평화' 세션 기획 및 진행
      기후와문화연구회, 서울대 박정재 교수 특강 '기후의 힘'
      지구와사람 이태원 경리단길 새 공간 입주
      지구법 강좌 '실무가를 위한 지구법' 4회 진행
      2022 매경세계지식포럼 '신냉전시대 자유주의의 미래와 기후정치' 세션 기획 및 진행
    • 08 지구법학회 열린세미나,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김락현 교수 특강 '온실지구의 지구법'
      생태대연구회 열린세미나, 서울대 장대익 교수 특강 '다윈 이후의 진화론'
    • 07 생명문화강좌,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김준수 연구원 특강 '남극사회학과 극지심상의 재구성'
    • 06 지구법학회 열린세미나, 성공회대 조효제 교수 특강 '기후-생태위기에 관한 인권사회학자의 생각'
      콩두에프앤씨와 MOU 체결
      환경과생명문화재단 이다와 MOU 체결
      생명문화강좌, 황혜경&강정 시인 북토크
      유재스페셜, 최문순 강원도지사 특강 '민주주의 너머 제7공화국을 세우다'
    • 05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과 MOU 체결
      지구와사람 열린세미나 시작
      2022 생명문화강좌 시작
      경기연구원, (사)에너지전환포럼 공동주최, 기후변화 콜로키움 2022 '6회: Z세대가 주도하는 새로운 기후정치란 무엇인가(Sophie Handford)'
    • 04-12 '생명의 시(詩)작 - The Earth 2022' - 조은 시인 지도(10회 진행)
    • 04 지구의 날 기념 '기억하는 새, 작은 진혼' 공연
      2022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예술로(路) 협업사업 참여기관 선정
    • 03 경기연구원, (사)에너지전환포럼 공동주최, 기후변화 콜로키움 2022 '5회: 시민의 삶 속 전환과 실천(Kimberly Nicholas)'
    • 02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HK+사업단 주최 국제컨퍼런스 'Earth Jurisprudence and Latin American's Rights of Nature' 기조강연 및 지구법학회 세션 기획 및 진행
      2022 평창평화포럼 DMZ 평화지대 세션 'DMZ 평화지대와 그린 데탕트' 기획 및 진행
    • 01 지구와사람 2021 생태대포럼 2부 '지구법학과 바이오크라시(Biocracy)' 개최
      후원 클럽 '지구의 친구들' 발족
      월간환경 지구와사람 칼럼 수록 시작
  • 2021
    • 12 문화예술 플랫폼 Earth Eye 첫 창작극 <보트피플> 공연
      지구와사람 2021 생태대포럼 1부 '인간 너머의 존재, 생명과 열리는 미래' 개최
    • 11 파견예술인지원사업, 전시 <펼쳐진 구 UNFOLDING TEXT> 진행
      경기연구원과 공동주최, 기후변화 콜로키움 2021 '4회: 에너지 분권 패러다임의 정치학과 정의로운 전환'
      환경일보와 MOU 체결
    • 10 서울대학교 빅데이터 혁신공유대학 사업단과 MOU 체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와 MOU 체결
      2021 DMZ 평화협력 국제포럼> 'DMZ 안보·공동체적 관점에서 새로운 인식과 접근' 세션 기획 및 진행
    • 09 <세계지식포럼 2021> '지구와 공존하는 미래' 세션 기획 및 진행
    • 08 정선포럼 2021 지구세션 ‘함께 생각하는 지구(Earth, Together)’ 기획 및 진행
    • 07 포럼의 임시총회에서 김왕배 대표 등 공동운영체제로 변경
      문화예술 플랫폼 Earth Eye 출범
    • 06 경기연구원과 MOU 체결
      지구법강좌 ‘지구를 위한 변론’ 총 4회 진행
      환경일보 공동 주최, 2021 환경의 날 기념 '줄이는 삶을 시작했습니다' - 전민진 작가 북토크
    • 04 지구의 날 기념행사, ‘지구를 위한 침묵’ 영화제 개최
      단편영화 ‘EARTH EYE(지구 아이)’ 제작
    • 03 국립해양박물관과 MOU 체결
      2021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예술로(路) 협업사업 참여기관 선정
      서울연구원과 공동주최, 기후변화 콜로키움 2021 '3회: 기후 중립성을 향한 에너지 전환의 길’
    • 02 서울연구원과 공동주최, 기후변화 콜로키움 2021 '2회: 인류세 지구 시스템에서 기후와 사회적 티핑 요소 간의 연속적 상호작용 : 위험과 기회'
      평창평화포럼 “신기후평화체제(New Climate Peace Regime)와 DMZ의 권리적 접근” 세션 기획 및 진행
    • 01 서울연구원과 공동주최, 기후변화 콜로키움 2021 '1회: 인류세 탐색을 위한 전략'
  • 2020
    • 12 생태대를 위한 PLZ포럼 2020 '평화, 환경, 발전 넥서스를 통한 세계접경지역의 평화구축' UNRISD(유엔사회개발연구소)와 공동 주관, 전체세션 기획 및 진행
    • 11 2020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학술세미나 '자연미술의 새로운 접근과 비전' 참가, 이경호 작가 '노아의 방주' 설치 및 전시
      GENEVA PEACE WEEK 2020 참가, 'Social Ecologies and Ecozoic Curtules in Border Landscapes' 영상제작
    • 10-11 지구법강좌 총 4회 진행
    • 10 지구와사람 2020 창립 5주년 컨퍼런스 '생명과 공동체의 미래 (Without Life, Where is the Future?) 개최
    • 08 ‘정선포럼 2020’, <문화개회식 Inter-Connection and Harmony> 공연, <전체세션 ‘글로벌 팬데믹 이후 지구와 인류의 미래’>진행, <지구세션 ‘자연과 조화’> 기획 및 진행
    • 07 지구법센터 <지구를 위한 법학>출간 (강금실, 박태현, 최선호, 정혜진, 김연화, 조상미, 오동석, 강정혜 저)
    • 06-11 2020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예술로(路) 협업사업 참여기관 선정. ‘<우주속으로 걷다>와 함께 하는 7인의 예술인 이야기’ 프로그램 진행
    • 06 제7회 유재스페셜, 김상일 교수, ‘수운과 화이트헤드’
    • 05-12 생명문화소사이어티 '생명의 시(詩)작'강좌 <가장 자연스러운 얼굴로 「OPEN! 겨를의 미들(middle.美들.)」—시간과 나와 당신의 중심에 시詩> - 황혜경 시인 지도(10회 진행)
    • 05 생명문화강좌, 공병혜 조선대 교수, ‘한나 아렌트의 탄생 철학과 생명의 정치학’
      공우석의 생태기행, 대관령으로 떠나는 ‘산바람 솔향기 따라 생태기행’
    • 02 제6회 유재스페셜, '생명과 평화를 위한 공동체 설계' - 안나 그리칭 박사 초청 강연
      2020 평창평화포럼 참석 <고성 유엔평화도시 모색과 통합적 미래로의 전환>, 세션 기획 및 진행
  • 2019
    • 12 출판기념 쎄미나 ‘최후의 전환’(프리초프 카프라, 우고 마테이 저, 박태현 옮김,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개최
      지구와사람 송년의 밤 행사 ‘땅의 시간을 나누다’(‘땅의 시간’ 캠페인 마무리, 시 낭송회) 개최
    • 11 제5회 유재스페셜, ‘슬로라이프, 느림의 철학과 생태적 삶을 위한 공존의 길’ - 쓰지 신이치 교수 초청 강연
    • 10 제4회 지리산 국제환경미술제 ‘회복 回復 : 다시, 숨, 쉬다(RE : Covering, Breathing, Resting)’ 후원단체로 참가
      연극 월간소년 공연 <유재에 살았던, 달빛을 벚삼아 살았던 달의 동생의 이야기> 지구와사람 후원
    • 09 PLZ포럼 사전 세션, ‘지구 정의를 위한 대화의 장’ 개최
      생태대를 위한 PLZ(Peace & Life Zone) 포럼 2019, ‘자연의 권리와 생태적 전환’ 개최, 춘천 KT&G 상상마당
      DMZ 생태탐방로 화천 칠성전망대 방문
      2019 PLZ 페스티벌 음악회 개최, 인제, DMZ평화생명동산, 박수근미술관
    • 08 시바견x작은질문들 프로젝트 <시로 시작하거나 시로 끝나거나 (시퍼즐)> 지구와사람 후원
    • 07 기후와문화연구회 특강 '숲으로 가는 길' - 이유미 국립수목원 원장
    • 06 제4회 유재스페셜, '<버닝> 세계의 그 모호함에 대하여' - 이창동 감독 초청 강연
      제3회 유재스페셜, '토마스 베리와 회칙 <찬미받으소서>' - 데니스 오하라 교수 초청 강연 (경희대 미래문명원, 한국토마스베리협회 공동주최)
    • 05 2019 연수북페스티벌 초록책축제와 함께하는 '전문 생태 포럼' 개최
      유재살롱 프로젝트 오픈 - 강정 시인 지도 (12월까지 8회 진행)
      생명문화소사이어티, ‘생명의 시(詩)작’ 강좌 '내 안의 시를 길어 올리다' - 조은, 황혜경 시인 지도 (12월까지 각 10회 진행)
    • 04 러쉬 채러티팟과 함께 '땅의 시간' 캠페인 프로젝트 오픈
      지구의날 기념 행사, 'Happy Earth Day to you!' 개최
      2019 지구법강좌 '지구법학 A to Z_지구법학의 모든 것' 진행 (5월까지 총 4회)
      청소년기후소송지원단 주최 '제 2차 청소년기후소송포럼' 사단법인 선과 공동 주관
      남원 생태여행 '소나무와 대나무를 찾아가는 춘향골 남원마을 숲 답사' 기후와문화연구회 진행
    • 03 제 4차 토마스베리강좌 '지구의 꿈과 위대한 과업' 진행 (11월까지 총 8회)
      문선희 작가 <묻다> 출판기념전시 오프닝 공동주최
      생태대연구회 발제 및 토론 (12월까지 총 6회)
    • 02 제 2회 유재스페셜, 'Buen Vivir: Good Living'- 알만도 안토니오 데 네그리 박사 초청 강연
      청소년기후소송 지원단 주최 '청소년기후소송포럼' 사단법인 선과 공동 주관
      제 1회 유재스페셜, 'Journey of the Universe의 교육학' - 메리 이블린 터커 박사 초청 강연
      포럼 정기총회 및 유재 집들이 개최
      제 2회 유재스페셜, 'Buen Vivir: Good Living'- 알만도 안토니오 데 네그리 박사 초청 강연
      생태대연구회 <서양 지성사에서 Holistic view의 전통- 니체의 철학을 중심으로> 이동준 사무국장 강연
    • 01 삼청동 한옥 공간 유재(留齋) 입주
      기후와문화연구회 ‘북극툰드라의 식물탐사이야기’ 황영심대표 특강
      지구법학회 ‘Earth Governance, The Rights of Nature’ 발제 및 토론 (11월까지 총 4회)
  • 2018
    • 12 지구와사람 송년의 밤 '읊다, 부르다, 마주보다'(시낭송회) 개최
    • 11 서울고메 2018 포럼 '지구를 살리는 미래의 식탁(Feeding the Planet)' 공동주최
    • 10 2018 생태문명 국제 컨퍼런스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생태적 전망' 개최
      <지구를 구하는 열 가지 생각>(존 B. 캅 저, 한윤정 번역, 지구와사람) 출간
    • 07 ‘가축 살처분 프로젝트’ 세미나 공동 개최 (정의당 이정미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실, 표창원 의원실, 송갑석 의원실, 화우공익재단, 포럼 지구와사람, 재단법인 동천, 사단법인 선)
    • 05-12 생명문화소사이어티, ‘생명의 시(詩)작’ 프로젝트 각 10회 진행 - 강정, 조은, 황혜경 시인 지도
    • 04 지구의 날 기념 행사, 송암스페이스센터
    • 03-12 지구법강좌 총 4회 진행
    • 03-11 토마스베리강좌 '우주 이야기' 총 8회 진행 - 맹영선 교수 지도
    • 03-1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주최 (환경국가헌법 개정을 위한) "2018 환경헌법포럼" 총 4회 참가
    • 03 기후와문화연구회 발족
      포럼 정기총회
  • 2017
    • 12 영화의 밤 개최, 〈노 임팩트 맨〉
    • 11 정기 컨퍼런스 ‘삶의 세계와 생태적 전망’ 개최
      에코시브 주최 클레어몬트 컨퍼런스 ‘Green Transition Toward Ecological Civilization: A Korea-US Dialogue’ 참가
    • 09 포럼 옥션데이 개최
    • 08
      -18.01
      토마스베리강좌 ‘세계관과 생태학’ 총 8회 진행 - 맹영선 교수 지도
    • 06 제 8회 제주인권회의 '다시 인권이다 - 인권의 현재와 미래' (오동석, 박태현 교수 참가)
    • 04 지구의 날 기념 ’사람과 자연이 하나되어 지속가능한 미래로’ 국립수목원,
      환경일보와 합동 행사 개최
    • 3-12 지구법강좌 총 4회 진행
    • 03 (사)시민환경연구소와 환경법률센터 주최 토론회, '환경, 헌법을 어떻게 담을 것인가' (강금실, 박태현 참가)
    • 02 포럼 정기총회
      지구법학회 산하 동물법비교연구회 발족
      생명문화소사이어티 출범
  • 2016
    • 12 영화의 밤 개최, <제네시스: 세상의 소금>
      김영준 포럼 회원, 제네바 포럼 주최 연례 국제 컨퍼런스 지구법 관련 세션 참가
    • 11 제 2회 정기 컨퍼런스, ‘오늘의 인간, 미래의 지구’ 개최
    • 10-12 생태와 복지 청년 이노베이터 프로젝트(강좌 5회 및 종강식) 진행
    • 07 영국 UK Environmental Law Association(ukela.org) 가입
    • 04-06 제 1회 토마스베리강좌(강사 이재돈 신부) 진행(격주 4회)
      UN, ‘Harmony with Nature (harmonywithnature.org)’에서 진행하는 지구법 주제 Virtual Dialogue 참가
    • 04 <야생의 법 – 지구법 선언> 번역 출판 기념회
      영국 Gaia Foundation 사이트에 지구법 관련 단체로 등재
    • 03-12 지구법강좌 총 4회 진행
    • 02-10 생명문화강좌 총 4회 진행
    • 02 영국환경법협회(UKELA) 등 기후변화와 생태교육, 지구법 관련 단체 방문
    • 01 제 1회 정기 총회
      ‘토마스베리강좌’ 개설
      생명문화소사이어티와 생명문화강좌 개설
  • 2015
    • 11 창립기념 컨퍼런스, ‘침묵하는 지구를 위하여’ 개최
    • 10 포럼 지구와사람 창립총회
    • 09 ‘기후변화법센터’ 설립
    • 06 생명문화포럼과 포럼 지구와사람 통합 결의
      제 1회 워크숍 개최
    • 04 사단법인 선과 공동으로 변호사 대상(대한변협 인정연수프로그램) 연 4회 지구법강좌 시리즈 시작
    • 03 생명문화포럼의 독서모임이 ‘생태대연구회’라는 이름으로 합류
    • 01 사단법인 선 후원으로 포럼 지구와사람 결성하기로 함
      지구법(Earth Jurisprudence) 세미나 시작
  • 2013 - 2014
    • ‘생명 문화포럼’ 진행
      생명 주제의 월례 전문가 강좌, 청년프로그램, 5회에 걸친 여성변호사 독서모임 개최
  • 2012
    • 가톨릭대학교 생명대학원장 이재돈 신부(생태신학박사) 지도로 5회에 걸쳐 토마스 베리 강독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