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사람
검색
메뉴 열기
메뉴 닫기
kor
eng
지구와사람
비전과미션
조직도
스토리
후원/협력
뉴스레터
학술플랫폼
아카데믹 소사이어티즈
지구법강좌
토마스베리강좌
출판
라이브러리
온라인 TV
온라인 강좌
컨퍼런스
정례 컨퍼런스
DMZ 생명공동체
기후변화 콜로키움
프로젝트
지구아이
프로그램
영상
Earth Letter
비전과미션
조직도
스토리
후원/협력
뉴스레터
아카데믹 소사이어티즈
지구법강좌
토마스베리강좌
출판
라이브러리
온라인 강좌
정례 컨퍼런스
DMZ 생명공동체
기후변화 콜로키움
프로젝트
프로그램
영상
Earth Letter
라이브러리
생태적 세계관과 지구 거버넌스를 세우기 위한
다양한 학술자료, 동향, 기관정보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도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언어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일본어
독일어
기타
유형
논문 및 발표문
단행본
보고서
웹사이트
열린세미나
기타
검색
논문 및 발표문
자연의 권리 솔루션: 지속가능성을 위한 새로운 모델 - Mumta Ito(Founder and CEO of Nature’s Rights NGO)
우리는 2020년에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를 위해 시에나, 볼로냐, 살렌토 대학과 공동으로 '자연의 권리를 위한 EU 기본 헌장'의 실현 가능성을 조사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우리는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번영하는 미래를 누릴 수 있도록 자연·사람·경제의 권리를 지구 한계 및 지속가능발전목표와 통합하는 통합 모델을 제안했다. 이 에세이는 제안의 주요 요점을 설명한다.
2023/09/07
2023
[뉴스클리핑] ‘고래’를 변호하는 사람들…오염수가 방류되면 고래들은 어떻게 될까(경향신문 2023/08/22)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은 헌법 제정 이래 최초로 비인간동물인 '고래'를 청구인에 포함한 헌법소원을 냈다. 정부가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도에 마땅히 했어야 할 외교적 조치 등을 다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시민과 생명체들이 헌법상 권리를 침해당했다는 문제의식을 담은 소송이다. 김도희 변호사(41)가 제안했고, 김소리 변호사(35)가 법리를 파고들었다. 어떤 고래를 넣고, 어떤 고래를 뺄 것인가는 아주 중요한 문제였다. 헌법소...
2023/09/05
2023
[뉴스클리핑] ] '페인트 시위' 청년 기후활동가 대법원 선고 연기시킨 ‘지구법학자’의 의견서(경향신문 2023/08/15)
청년기후긴급행동 강은빈 대표와 이은호 활동가는 2021년 2월 경기 성남시 두산에너빌리티(전 두산중공업) 건물 앞 조형물에 녹색 페인트를 뿌리고 시위를 한 혐의로 형1~2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1심 재판부는 ‘공익 활동이라도 법질서의 테두리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판단해 활동가 2명에게 벌금 총 500만원을 선고했다. 2심 재판부도 이를 유지했다. 이제 대법원 판결만이 남았다. 대법원은 지난달(7월) 27일로 선고 기일을 잡았다가...
2023/09/05
2022
논문 및 발표문
동물보호법상 동물 개념에서 식용 목적인 어류 배제에 대한 비판 - 최정호(서울대학교 빅데이터 혁신융합대학 사업단 연구조교수)
*이 논문은 방어・참돔 학대 사건의 불기소처분(서울남부지방검찰청 2021년 형제 22857호)에 대해서 2022년 6월 2일 서울고등법원에 제기된 항고 사건(2022항고2491)에 항고인 측을 위해 제출한 의견서의 일부를 수정 및 보완한 것으로, (재)지구와사람의 2022 신진학자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음.[국문초록]이 연구는 방어와 참돔을 시위 도구로 활용하여 질식사 시킨 어민 집회가 동물 학대로 고발되었음에도 불기소처분 결정이 내려진 것을 계...
2023/08/04
2022
논문 및 발표문
자연의 권리론 - 박태현(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이 논문은 2022년 9월 23일 “자연과 인간의 행복한 공존을 위한 법적 모색”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한국환경법학회 제152회 정기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하였으며,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6A3A02058027)[국문초록]환경법의 체계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지구적 환경위기가 가속화하는 까닭은 현행 환경법이 우리 경제체계 자체의 지향과 같은 근본 원인은 다루지 않은...
2023/08/04
2017
논문 및 발표문
Legal Personality of Natural Features: Recent International Developments
뉴질랜드의 Te Awa Tupua/Whanganui 강의 경우를 비롯해 최근 자연에 법인격과 권리를 부여한 사례 분석과 평가캐나다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지만, 법인격 개념과 자연의 권리 운동, 그리고 5개의 사례 연구(해당 사례의 배경, 방법론, 영향, 평가 등 )가 정리되어 있어 참조할 만하다.
2023/08/03
2022
논문 및 발표문
'인간 너머' 자연의 권리와 지구법학: 탐색과 전망 - 김왕배(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며(NRF-2019S1A5A2A03046218), 학술지 〈동양사회사상〉 25권 1호(2022)에 실렸다. [논문요약]지구온난화를 비롯한 생태위험은 인류의 파국을 알릴 만큼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다. 일군의 학자들은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지구의 지질 경로가 바뀌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 세기를 ‘인류세’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아래 세계 곳곳에서는 인간을 넘어 ...
2023/07/31
2023
단행본
기후변화와 인권 관련 주요 해외 문헌 자료집
국가인권위원회 2023.07.10. 발행목차1. Understanding human rights and climate change 출처: United Nations Human Rights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제출 문헌, 2015년2. Frequently Asked Questions on Human Rights and Climate Change출처: United Natio...
2023/07/27
2022
보고서
기후변화 소송 글로벌 동향 2022
Grantham Research Institute의 기후소송에 대한 글로벌 동향 시리즈의 네 번째 연례 보고서로서 2021년 5월부터 2022년 5월까지를 다루고 있다. 주요 출처는 세계기후변화법(CCLW) 데이터베이스로서, 43개국의 법원과 국제·지역 법원 15곳에서 제기한 사건이 포함되어 있다. 보고서는 기후변화 소송의 전반적 동향과 최근에 주목받는 동향을 정리한다. 최근 소송의 동향은 2021년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
2023/07/27
2022
보고서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
2022년 12월 20일(현지 19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가 채택되었다. 196개 당사국 대표들이 4년 간 논의를 거쳐 채택한 이번 프레임워크는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이라는 비전을 2050년까지 달성하기 위한 사회,경제 전 분야의 변혁적인 행동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시작해, 2050년까지 4개의 목표, 2030년까지 23개 실천목표, ...
2023/07/24
1
2
3
4
5
6
7
지구와사람
비전과미션
조직도
스토리
후원/협력
뉴스레터
학술플랫폼
아카데믹 소사이어티즈
지구법강좌
토마스베리강좌
출판
라이브러리
온라인 TV
온라인 강좌
컨퍼런스
정례 컨퍼런스
DMZ 생명공동체
기후변화 콜로키움
프로젝트
지구아이
프로그램
영상
Earth 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