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사람

검색
지구법강좌
지구법강좌는 지구법학(Earth Jurisprudence)을 기반으로 인간중심적 산업 문명의 폐해를 극복할 대안을 연구하며 거버넌스 체계 변화를 이끌어갈 법률가와 연구자를 양성합니다. 2015년부터 사단법인 선과 공동 주최로 연 4회 개최하는 대한변호사협회 지정 변호사 인정 연수 프로그램으로, 변호사와 로스쿨생, 그리고 학문 후속 세대의 참여를 기대합니다. 2024년부터는 “시민을 위한 지구법강좌”를 신설하여 지구법의 대중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 2017 지구법강좌 제4강 "지속가능한 발전과 법의 과제 - 4대강 사업을 중심으로" 12월 4일 월요일 오후 7시 서울지방변호사회 변호사교육문화관 세미나실4에서 제4회 지구법강좌가 열렸다. "지속가능한 발전과 법의 과제: 4대강 사업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올해 마지막 강좌는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교수를 초청해 진행됐다. 홍종호 교수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무엇인지와 국책사업과 비용편익 분석, 4대강 소송을 중심으로 한 국책사업 논쟁의 법적 해결, 지속가능한... 2018/03/22
  • 2017 지구법강좌 제3강 "동물 윤리와 법 - 동물의 도덕적 지위와 동물권" 2017년 지구법강좌 제3강이 지난 9월 4일 변호사교육문화관 4세미나실에서 열렸다. ‘동물 윤리와 법 ? 동물의 도덕적 지위와 동물권’이라는 주제로 펼쳐진 이 강연은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교양학부의 최훈 교수가 맡았다. 현재 철학을 가르치는 최훈 교수는 논리학을 주 전공으로 삼고 있으며, 응용윤리로서 동물윤리에 관한 저서 <동물을 위한 윤리학> <동물실험 윤리>를 집필한 바 있다. 최훈 교수의 강의 내용을 요약하여 2017/10/16
  • 2017 지구법강좌 제2강 "핵발전의 문제점과 법정책" 2017년 지구법강좌 제2강이 지난 6월 12일 변호사교육문화관 4세미나실에서 열렸다. 강연을 맡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김익중 교수는 핵발전(원자력발전과 원전, 이하 두 용어 혼용)의 문제점과 위험성을 후쿠시마 사고가 일본에 미친 영향을 통해 설명하며 세계적인 흐름으로서 재생가능에너지 증가 추세에 대해 살펴본다. 그는 이를 통해 한국 역시 탈핵이 가능하며, 탈핵은 반드시 이뤄내야 하는 과제임을 역설한다. 아래 김익중 교수의 강연을 요약, 소개한다. 2017/06/19
  • 2017 지구법강좌 제1강 "미세먼지와 건강위해성 관련 현황과 고찰" 3월 20일에 열린 2017년 지구법강좌 제1강에서 최근 우리사회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생태 관련 이슈인 미세먼지의 개념과 특성 등을 역학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고려대 환경보건학과 이종태 교수는 미세먼지의 위험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역학 등 과학적 방법론에 대해 소개한 후, 국내 연구를 기반으로 한 미세먼지의 건강위해도(Risks)에 관해 차근차근 설명해 나갔다. 2017/05/11
  • [강좌안내] 2017년 지구법강좌 시리즈 지난 3월 20일, 2017년 제 1회 지구법강좌 '미세먼지의 건강 위해성 관련 현황과 고찰'을 진행했습니다.앞으로 6월, 9월, 12월에 각각 홍보물 하단 표에 명시된 대로 지구법강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7/03/28
  • 2016 지구법강좌 제4강 "과학기술사회의 생명윤리와 법률가" 12월 5일 2016 지구법강좌의 마지막 시간은 "과학기술사회의 생명윤리의 변호와 법률가의 역할"을 주제로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박은정 교수가 강의를 준비했다. “밸리(Valley) 하면, 무엇이 떠오르나? 계곡을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실리콘밸리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아졌다.” 이러한 연상이 단적인 예가 되듯이, 기술환경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다. 과학기술에 둘러싸인 변화를 강조하며 강의가 시작되었다. 그 내용을 정리해 본다. 2017/03/13
  • 2016 지구법강좌 제3강 "동물법의 동향과 주요 쟁점" 9월 19일 강연을 맡은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함태성 교수는 미국에서 샌디에고에서 공부하면서, 미국 동물법의 동향과 이슈를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다고 한다. 샌디에고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최남단의 살기 좋은 도시로, 샌디에고동물원과 씨월드범고래 '샤무'쇼로 유명한 도시다. 동물원이 유명한 만큼 이곳에는 동물 관련 연구도 활발하다. 함 교수는 샌디에고에서 공부하지 않았다면, 동물법에 대한 관심을 갖지 못... 2016/12/19
  • 2016 지구법강좌 제2강 "한국의 에너지 법정책의 현황과 방향" 6월 13일에 열렸던 2016 지구법강좌 제2강에서는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과 관련 법제도의 문제점을 살피고,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라는 과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은 '재생에너지 확대의 법적, 제도적 현황과 방향'이라는 주제로 기후변화와 기후협상, 재생에너지에 기반한 에너지부문 감축 전략,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법 제도적 과제를 발제했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녹색에너지 과장은 '서... 2016/07/05
  • 2016 지구법강좌 제1강 "신기후체제 파리총회의 법적 쟁점과 시사점" 2016년 3월 14일 열린 첫 번째 강좌는 2015년 통과된 기후변화 파리협약을 다뤘다. "신기후체제 파리총회의 법적 쟁점과 시사점"이란 주제로 지구법(Earth Jurisprudence)강좌를 열었다. 첫 섹션에서는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박시원 교수가 '신기후체제의 서막-파리총회의 법적 쟁점과 결과'를, 두 번째 섹션에서는 주한영국대사관 기후변화에너지 김지석 담당관이 '파리총회: 영국의 대응-한국의 대응 과제'를 주제로 강연을 준... 2016/07/05
  • 2015 지구법강좌 제4강 "생명의 과학과 법의 과제" 12월 21일 2016 지구법강좌 마지막 시간에는 ‘생명’을 주제로 생명과학의 문제를 다뤘다. 송기원 교수(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생명〉의 저자)는 생명과학의 발달에 따라 인위적으로 생명이 변형되고 있는 현실을 소개하며, 새롭게 제기되는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고민을 던졌다. 이어 생명과학의 발전에 따르는 사회변화의 현실도 살피며 그에 미치지 못하는 사회 거버넌스 시스템의 문제, 즉 현실과 법제도와의 괴리를 지적했다. 생명에 대한 ... 2016/06/25